충북참여연대 회원이 되면
열린 '나' 를 만날 수 있습니다.
열린 '너' 를 만날 수 있습니다.
함께 가는 '우리' 를 만날 수 있습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최근 게시물
MORE-
오늘의 이슈
-
연대활동
-
오늘의 이슈
-
연대활동
-
오늘의 이슈
-
연대활동
-
오늘의 이슈
-
오늘의 이슈
-
연대활동
-
오늘의 이슈
공지사항
더보기- 2023 후원의밤 <시민과 함께> * 후원 방법이 궁금 하시다고요? : ) 1) 십시일반 따뜻한 마음으로 보내주실 후원계좌가 있습니다! - 농협 1114-01-034101 <예금주 :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 신한 100-014-149810 <예금주 :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2) 후원금대신 일시 회비증액도 감사합니다! - "11월에만 회비를 3만 원 증액합니다! 5만 원 증액합니다!"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11월부터 회비를 1만원 인상할게요!" 해주셔도 고맙습니다! 3) 후원행사 현장에서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11월 9일 목요일 오후 6시 30분, S컨벤션에서 진행하는 후원행사에도 현장 모금을 진행합니다! 당일 정성껏 식사도 준비하니 부담 없이 함께 해 주세요! 4) 단체, 법인 후원의 경우 별도 문의를 부탁드립니다! - 개인의 후원금 영수증과는 달리 복잡한 증빙서류가 필요하시죠? 사무처로 전화 주시면 자세히 도와드리겠습니 : ) 5) 후원약정도 괜찮습니다! - 당장 지금은 어렵지만 별도로 기간을 정해 약정해 주시는 것도 고맙습니다! * 기타 현물 후원 및 다양한 후원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사무처로 문의해 주세요! * 전화 _ 043-267-0151 / 카톡, 텔레그램 _gina651 바쁘고 치열한 일상 속에서도 보내주신 회원님의 따뜻한 마음으로 충북참여연대는 ‘참여하는 시민, 연대하는 지역사회’를 향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나하나는 작은 힘이지만 연대하는 우리는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평범한 시민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기적을 보여주시는 회원님이 이 자리의 주인공입니다! 2023 후원의 밤 “시민과 함께”를 11월 9일(목) 18시 30분 컨벤션 신관 크리스탈볼룸>에서 진행합니다! 참 오랜만에 회원님들과 반갑게 만날 수 있는 자리로 준비했습니다! 꼭 참석하시어 든든하고 건강하게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충북참여연대를 확인하는 반가움과 후원의 뿌듯함을 함께 나누고 가시길 부탁드립니다! 2023년 충북참여연대 이렇게 활동했습니다 ♪ 오송지하차도 참사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해 함께 하고 있습니다. ♪ ‘기꺼이 친일파’ 발언, 산불 술자리 거짓논란 김영환 도지사의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 불통행정 이범석 청주시정 1년의 개선을 촉구했습니다. ♪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를 결정한 윤석열 정부와 일본정부를 규탄했습니다. ♪ 도내 에너지 빈곤층 지원을 위한 토론과 고민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다시 시민의 힘으로! 일상의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시민교육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지역 곳곳의 소중한 역사문화 현장를 찾는 기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어려운 이웃과의 연대를 위해 따뜻한 나눔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09.25
- [416재단] 피해자 권리 매뉴얼 4·16재단에서 발행한 '피해자 권리 매뉴얼'을 공유합니다! 피해자의 권리·피해자 중심 재난 보도 가이드라인, 피해자 전달 공무원의 역할 매뉴얼 등이 담겨 있습니다. 오송지하차도 참사로 아파하는 피해자, 유가족, 생존자는 물론 소중한 이웃을 잃은 우리 모두가 함께 읽었으면 좋겠습니다! 2023.07.26
- 토론회_지역 에너지 빈곤층을 위한 대책은?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취사, 난방, 냉방 등을 위한 일정 수준의 에너지 사용이 필수적이며, 정부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에너지복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난겨울 정부의 취약계층 에너지 지원은 대책을 발표하고 사각지대가 발생하면 다시 추가 대책을 붙이는 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허술한 에너지복지의 현 주소와 개선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기후위기로 폭염과 한파의 강도와 기간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로 위협받는 지역 에너지 빈곤층 보호를 위해서는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야 합니다. 청주시 에너지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과 정책과제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3.06.08